[경제용어] ISM 지수 , PMI 지수 해석하는 법
자료출처 : 무역용어사전, 시사용어사전, 네이버 지식백과
ISM (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) Index = PMI (Purchasing Managers' Index)
정식명칭은 PMI(Purchasing Managers’ Index, 구매관리자지수)지만 국내에서는 ‘ISM제조업지수’로 더 잘 알려져 있다.
미국 공급관리자협회(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, ISM)가 미국 내 20개 업종 400개 이상의 회사를 대상으로 매달 설문조사를 실시해 산출하는 지수다. 지수에는 기업의 신규 주문·생산·출하 정도·재고·고용 상태 등 5가지 분야에 대해 회원들이 ‘악화(worse)’ ‘불변(same)’ ‘개선(better)’이라고 답하면 ISM이 이를 수치화해 PMI를 산출한다. 전체 지수 중 주문이 30%, 생산과 고용이 25%와 20%, 배송과 재고가 15%와 10% 각각 반영된다.
제조업지수(ISM Index)와 비제조업(서비스업)지수(ISM Non-manufacturing Index, ISM Services Index) 두 가지로 발표되는데 모두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, 50 이하면 수축을 예고한다.
1) 제조업지수 : 경기선행지표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. 미국 월가의 이코노미스트들이 가장 신뢰하는 경제지표중 하나. (미국 지표등급 분류중 A등급)
2) 비제조업(서비스업)지수 : 상대적인 영향력은 낮은 편. 경제가 회복 단계에 들어갔을 때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바로미터 역할.
그래프로 보니 확장국면이긴 하지만 작년에 비해 수치가 많이 낮아졌다는것이 한눈에 들어온다. 1월 PMI 지수는 예상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는데 (서비스 PMI 50.9, 제조업 PMI 50.8) 올해 초 주식시장의 폭락이 지표를 보니 납득이 간다. 이런 지표는 절대적인 값도 중요하지만, 예상치와 비교해서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시장의 반응이 달라진다.
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PMI지수를 포함한 다른 지표들도 확인할 수 있다. 앞으로 발표될 지표중에서 2월 10일(목) 발표예정인 인플레이션 지표를 주목해야겠다.
https://ko.tradingeconomics.com/united-states/calendar
미국 - 경제지표 - 경제 지표
날짜 충격 UTC -12 UTC -11 UTC -10 UTC -9 UTC -8 UTC -7 UTC -6 UTC -5 UTC -4 UTC -3 UTC -2 UTC -1 UTC UTC +1 UTC +2 UTC +3 UTC +3:30 UTC +4 UTC +4:30 UTC +5 UTC +5:30 UTC +5:45 UTC +6 UTC +7 UTC +8 UTC +9 UTC +9:30 UTC +10 UTC +10:30 UTC +11 UTC
ko.tradingeconomics.com